본문 바로가기

Spring3

Java Persistence 계층의 구조 정리 Java에서 데이터의 영속성(Persistence)를 위해 JDBC가 존재함. JDBC를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고 상호작용함. JDBC가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개발자는 실제 DBMS를 고려하여 개발하지 않아도 됨 (ex. Oracle, Mysql 등 모두 각자의 방식대로 관리하지 않아도 됨). 하지만 JDBC만 이용하면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다소 불편함(추상화레벨이 낮아서 개발자가 관여해서 설정해주어야 하는 것이 많음 - 즉 손댈게 많음). → 그래서 이를 편리하게 하려고 Framework들 등장. 이러한 Framework의 종류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SQL Mapper이고, 다른 하나는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SQL Mapper는 .. 2023. 7. 13.
[JPA] 1:1 식별관계 외래키를 기본키로 사용하는 경우 1:1 관계, 단방향, 식별관계 참조 되는 테이블 단방향이므로 컬럼 불필요 다른 설정도 불필요 참조 하는 테이블 @Id @Column(name = "account_id") private Long id; @OneToOne @MapsId @JoinColumn(name = "account_id") private Account account; 참조되는 테이블의 기본키 형식그대로 Id 변수를 하나 만들어주고 그 밑에 1:1연관관계 설정을 또 해줘야한다. 그리고 Repository 인터페이스 상속받을땐 으로 해줘야함 2021. 9. 11.
[Spring Boot] ResponseEntity사용하기 SpringBoot에서 ResponseEntity사용하기 ResponseEntity는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HttpEntity 클래스를 상속받아 HttpStatus, HttpHeaders, HttpBody을 변수로 갖는 클래스이다. 이 클래스를 우리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을 전송할 때 사용한다. HttpStatus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200, 404와 같은 HTTP상태코드를 담는 변수이다. HttpBody에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담아 전송하는데에 사용되는 변수이다. HttpBody는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담는데 어떤 객체든 대입할 수 있게끔 제네릭타입으로 정의되어있다.* 정리하면 ResponseEntity는 서버의 처리결과를 클라.. 2021.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