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2 [iOS] Under the hood: SwiftUI (번역 및 정리) 얼마전에 WWDC 관련 영상 보다가스유 관련 블로그 글도 추천받았는데요.그 중 하나가 Medium에 있는 Under the hood: SwiftUI 였습니다.https://medium.com/ios-gems/under-the-hood-swiftui-93ae7f0ae830 Under the hood는 그 이면의,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내부 동작을 말하는데요,이 블로그에서는 SwiftUI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9가지 주제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형식) 스유에 대해서 조금만 알고 있어도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내용이었구요.제가 이해한 언어로 풀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인트로에서는 우선 SwiftUI는 "UI를 만드는 간단한, 선언적 프레임워크"라고 소개합니다.하지만 그 내부.. 2025. 4. 4. [백준 11559] puyo puyo (Swift) https://www.acmicpc.net/problem/11559DFS & 시뮬레이션뿌요뿌요 게임 = 테트리스 (근데 이제 같은 색깔 칸이 4칸이상 모이면 터지는)터지면 빈 공간에 그 위에 있던 뿌요들이 내려와서 그 공간을 메운다.다행히 위에서 계속 뿌요가 새로 추가되진 않음.한판의 상황을 보고, 그때 터질 수 있는 모든 뿌요들이 터지는 데 이걸 1연쇄라고 한다.연속적으로 몇번의 연쇄가 일어나는지 출력하는 문제 접근방법1. 모든 칸을 보면서, 판에서 뿌요를 찾는다.1-2. 그 뿌요와 인접한 같은 색 뿌요들을 찾아서 좌표를 모은다. (DFS)1-3. 그 뿌요들이 4개 이상일 경우 터뜨린다 (그 자표들을 모두 "." 으로 바꿈)2. 뿌요를 한번이라도 터뜨렸을 경우 연쇄 1번 추가로 카운팅, 한번도 못터뜨린.. 2025. 4. 3. [iOS]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 (POP) 프로토콜특정 역할을 하기 위한 메서드, 프로퍼티, 기타 요구사항 등의 청사진을 정의한 것구조체, 클래스, 열거형은 프로토콜을 채택해서 프로토콜의 요구사항을 구현함으로써 프로토콜을 준수하며, 트로토콜이 정의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프로토콜 요구사항프로토콜을 채택한 타입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퍼티나 메서드와 같은 기능.프로퍼티 요구프로토콜을 채택한 타입이 어떤 프로퍼티를 구현해야하는지 요구하는 것프로퍼티의 이름과 타입만 준수하면 됨. (연산 프로퍼티 or 저장 프로퍼티 무관)프로토콜이 해당 프로퍼티를 읽기 전용으로 할지, 읽고 쓰기가 모두 가능하게 할지 정함.타입 프로퍼티 (static 변수)를 요구하려면 static 키워드 사용 (class, static 구분없이)메서드 요구인스.. 2025. 4. 2. [백준 1949] 우수 마을 (Swift) https://www.acmicpc.net/problem/1949 DP & DFShttps://sio2whocode.tistory.com/296 SNS 얼리어답터 문제랑 완전 똑같은 문제임차이점은 그때는 최소 얼리어답터 수를 구하는 거였다면(이 문제로 치면 최소 우수마을의 수)지금은 우수마을의 주민 수의 최대 합을 구하는 문제 접근방법트리모양에서 DP를 적용해서 푼다고 생각하면, 나와 내 자식노드까지가 sub tree라고 보고내가 우수마을일 때, 내 자식노드들은 우수마을이면 안됨내가 우수마을이 아닐 때, 내가 자식 노드들은 우수마을이어도 되고, 아니어도 된다.이게 주된 로직이다. 다만 여기서는 내 인접 마을 중 하나는 우수마을이어야 되는데,내가 우수마을이 아닐 때, 내 자식 노드들이 우수마을이 아니어도 .. 2025. 4. 2. [백준 12851] 숨바꼭질 2 (Swift) https://www.acmicpc.net/problem/12851 BFS & DP N에서 K까지 가는데 -1, +1, *2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장 빠르게 도달하는 시간과 그에 대한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 접근방법- BFS로 방문하고, 이미 방문했던 노드를 다시 큐에 넣지 않음- 세가지 경우로 이동할 때, 다음 노드가 처음 방문하는 노드라면 다음 노드까지의 최단거리(dist[next])를 지금 노드까지의 최단거리+1을 입력해준다. 그리고 그 거리로 도달하는 경우의 수 (cnt[next])에는 지금 노드의 최단경로 경우의수 (cnt[now])를 넣어준다. {지금 노드로의 제일빨리 도달하는 경우들이 모두 다음 노드로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 노드가 처음 방문하는 노드가 아니고,.. 2025. 3. 31. [iOS] Network Calls (네트워크 호출) 오늘은 iOS에서 네트워크 호출 (Network Calls) 하기에 대해서 간단한 예제 코드와 함께 공부했다. 네트워크 호출을 해야하는 이유는iOS 앱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서보기 좋게 유저에게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 (서버) --- 💾 (데이터) --> 📱(아이폰) 바로 여기서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에서 필요한 것이네트워크 호출이다. 우선, 그럼 그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 잠시 설명하자면,주로 요즘 우리가 서버에서 받아오는 데이터의 형태는JSON (Java Script Object Notation?) 이다. JSON은 이렇게 key와 value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형식이다.대부분 문자열 형태이기 때문에 ""로 감싸져있다.데이터가 예를 들어 .. 2025. 3. 28. [iOS] View Life Cycle (UIKit) viewDidLoad()뷰가 메모리에 생성됐을 때 호출됨 (최초 1번)뷰에 속한 내용들이 모두 메모리에 로드된 후에 호출되기 때문에, viewdidload를 실행할 때는 outlet 과 같은 변수들에 모두 값이 채워져있음이 보장됨viewWillAppear()뷰가 App의 뷰 계층에 추가될 때 호출됨 (스크린에 뷰가 뜨기 바로 직전 → 뷰가 뜰 때 마다 호출)*주의점: 뷰가 처음 생성될 때만 viewDidLoad()가 실행되기 때문에, 만약 A뷰를 띄우고 B뷰로 넘어갔다가 다시 A뷰로 돌아오는 경우 viewDidLoad()는 실행되지 않지만 viewWillAppear()는 실행됨. 따라서 화면이 뜰 때 마다 실행되어야 하는 코드는 viewWillAppear()에 속해야한다.viewDidAppear()뷰가 .. 2025. 3. 28. [백준 8911] 거북이 (Swift) https://www.acmicpc.net/problem/8911 시뮬레이션격자판에서 0,0 점에서 거북이를 앞,뒤로 이동하거나 오른쪽,왼쪽으로 회전하는 명령들이 주어지면그 명령대로 거북이가 이동했을 때 지나는 모든 점을 포함하는 최소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 접근방법휴 격자판 나오면 늘 긴장하게 됨. 칸을 이동하는건 자신있는데 선을 따라 이동하는건 좀 어려운 것 같다.근데 마음을 다잡고 문제를 풀어보니깐 이번 문제는 꽤 잘 풀렸다!우선 어떻게 지나는 모든 점들을 포함하는 최소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걸 먼저 생각했는데생각해보니 넘 간단했다. 그냥 모든 점들의 최소x, 최대x, 최소y, 최대y를 구해서 가로 길이(최대x-최소x)와 세로길이(최대y-최소y)를 구해서 곱해주면 되는 거였음 그리고 방향전.. 2025. 3. 27. [iOS] Delegate & Protocol Delegate & Protocol patterndelegate와 protocol 패턴은 one-to-one communication pattern이다.여기서 one to one 이 의미하는 건 흔한 예시로는 뷰와 뷰 사이의 통신을 말함.⇒ 뷰 사이의 통신을 delegate와 protocol로 구현할 수 있다. What is Delegate?Delegate: 위임하다delegate pattern은 A객체가 특정 task를 B객체에게 위임(delegate)할 때 사용한다. 여기에서 등장하는 비유가 Boss와 Intern의 관계다.delegate 패턴에서 위임받는 객체 입장(Intern)에서는 무슨 일을, 언제할지 명령이 떨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위임하는 객체 입장(Boss)에서는 언제 그 일을 시킬지.. 2025. 3. 26. 이전 1 2 3 4 ··· 34 다음 728x90